본문 바로가기
건강

스트레스는 왜 면역을 흔드는가

by gold-pass-blog 2025. 10. 30.

1) 마음의 변화가 면역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Psychoneuroimmunology》에서는 면역은 심리 상태를 그대로 반영하는 체계라고 말한다.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자율신경계이다. 긴장 상태가 지속되면 교감신경은 활성화되고, 심장 박동이 빨라지며 근육은 경직되고 호흡은 얕아진다. 이때 부신에서 분비되는 코르티솔은 단기적으로 염증을 막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면역 균형을 무너뜨린다. 즉, 몸은 ‘계속 전쟁 중’이라고 착각하여 염증 유전자를 활성화한다.
EBS <명의>에서도 “심리적 스트레스가 관절염·루푸스·갑상선염 등의 악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한 환자는 “힘든 일을 겪는 시기마다 몸이 붓고 열이 난다”고 말했다. 이는 심리 → 자율신경 → 호르몬 → 면역으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 때문이다.


2) 스트레스와 면역 공격의 연결

《Human Physiology》(Guyton & Hall)는 장기 스트레스는 조절 T세포(Treg)를 감소시키고, 대신 염증형 T세포(Th17)의 활성도를 증가시킨다고 설명한다.
조절 T세포는 면역이 과도하게 작동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오래 받으면 이 브레이크가 약해지고, 면역은 외부가 아닌 자기 조직을 공격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류머티즘 관절염, 루푸스,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등에서 염증이 악화된다.
《Clinical Immunology》는 이를 **“면역의 기준선이 스트레스에 의해 이동되는 현상”**이라 부른다. 즉, 몸은 평소보다 더 작은 자극에도 과도한 염증 반응을 보인다. 이는 단순히 기분 탓이 아니라 생리학적 변화이다.


스트레스

3) EBS <명의> 속 실제 장면

EBS 명의에서는 스트레스 요인이 제거되었을 때 면역 수치가 안정되는 환자 사례를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
한 루푸스 환자는 직장 내 갈등이 해소되자 약물 용량이 줄었음에도 증상이 완화되었다. 의사는 이렇게 말했다.

“마음이 편안해지면 면역도 공격을 멈춥니다.”
이 말은 단순한 위로가 아니라, 실제 면역조절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 변화에 기반한 의학적 사실이다.
즉, 스트레스는 염증의 불씨를 키우고, 안정은 면역의 회복 환경을 만든다.


4) 면역 균형을 회복하는 스트레스 관리

《Clinical Immunology》와 《Human Physiology》는 다음을 자가면역 조절의 핵심 생활요법으로 제시한다.

방법면역 효과
깊은 호흡 & 명상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전환, 염증 감소
규칙적인 수면 리듬 유지 코르티솔 리듬 회복, Treg 상승
가벼운 걷기 & 스트레칭 사이토카인 조절, 신체 이완
감정 기록/감정 언어화 불안 완화, 긴장 조절로 이어짐

특히 수면 + 호흡 + 걷기는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도 지속 효과가 가장 크다.
면역은 공격 능력이 아니라 균형 능력이 건강을 결정한다.


📚 참고문헌
《Psychoneuroimmunology》
《The Autoimmune Diseases》(Elsevier)
《Clinical Immunology》
《Human Physiology》(Guyton & Hall)
EBS <명의> 자가면역질환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