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면역의 방패가 칼이 될 때: 자가면역의 시작

by gold-pass-blog 2025. 10. 20.

자가면역질환의 면역세포를 보여주는 현미경 이미지

 

 

🧠 면역은 나를 지키는 군대이자, 가장 정직한 거울이다

우리 몸은 매일 외부 침입자와 싸운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한 독성물질까지 —
면역체계는 그 모든 공격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보이지 않는 방패다.
《Janeway’s Immunobiology》에서는 면역을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한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정교한 인식체계가 흔들리면 어떻게 될까?
면역이 방향을 잃으면, 그 칼끝은 외부가 아닌 **‘나 자신’**을 향한다.
그 순간, 방패는 칼로 변하고, ‘자가면역(autoimmunity)’이 시작된다.


🔬 자가면역질환이란 무엇인가 – 몸이 자신을 오인할 때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세포가 자기 몸의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착각해 공격하는 상태를 말한다.
T세포와 B세포는 원래 ‘자기항원(self-antigen)’을 공격하지 않도록 교육받는다.
이 과정을 면역학에서는 **면역관용(immune tolerance)**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관용이 깨지면, 면역세포는 “적”과 “나”의 경계를 잃는다.
그 결과 루푸스, 류머티즘 관절염, 제1형 당뇨병 같은 질환이 발생한다.


🧬 EBS 명의가 전한 이야기: ‘내 몸이 나를 공격한다’

EBS <명의> 자가면역질환 편에서 한 환자는 이렇게 말했다.

“몸이 아픈데, 원인은 내 몸 안에 있대요. 내 몸이 나를 공격하고 있대요.”
이 짧은 말이 자가면역질환의 본질을 가장 잘 드러낸다.
루푸스(SLE) 같은 질환은 자가항체가 혈관을 따라 돌며 여러 장기를 손상시킨다.
즉, 면역은 더 이상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내부의 혼란으로 변한다.


🌿 치료의 새로운 방향 – 면역을 억누르지 말고 이해하라

《The Autoimmune Diseases》(Elsevier)는
“억제만으로는 면역의 오류를 교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제는 면역을 ‘재교육(re-education)’하는 접근이 주목받는다.
몸이 잊어버린 ‘자기와 비자기의 구분’을 다시 가르치는 것이다.
EBS 명의에서도 줄기세포 치료나 장내미생물 조절을 통해
면역 균형을 회복한 실제 환자 사례가 소개됐다.


📚 참고문헌 및 자료

  • 《Janeway’s Immunobiology》
  • 《The Autoimmune Diseases》(Elsevier)
  • 《Clinical Immunology》
  • 《Human Physiology》(Guyton & Hall)
  • EBS <명의> 자가면역질환 편